반응형

수학/선형대수학 2

[선형대수학] 복잡한 행렬식(determinant) 정복하기 - (2)

안녕하세요. 저번 시간에 이어서 선형대수학의 행렬식(determinant) 계산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. 저번 글의 주제였던 행연산과 열연산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의 다른 예제를 간단히 풀어볼게요. 저번 글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! https://liamm.tistory.com/entry/%EC%84%A0%ED%98%95%EB%8C%80%EC%88%98%ED%95%99-%EB%B3%B5%EC%9E%A1%ED%95%9C-%ED%96%89%EB%A0%AC%EC%8B%9Ddeterminant-%EC%A0%95%EB%B3%B5%ED%95%98%EA%B8%B0-1 이번 예제는 이것입니다. 감이 오시나요? 이번에도 가우스 소거법을 통해 대각행렬로 만들기가 복잡합니다. 끈질기게 시도하면 되겠지만, ..

[선형대수학] 복잡한 행렬식(determinant) 정복하기 - (1)

안녕하세요. 선형대수학의 행렬식(determinant) 계산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. 이 글에서는 복잡한 행렬식 계산 방법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습니다. 기본 개념은 전부 아시는 것으로 가정하고 선형대수학 문제 풀이 팁에 초점을 둔 게시글이니 참고해주세요! ① 행연산과 열연산을 둘 다 사용하기! 대학교에서 선형대수학을 수강하시는 분들은 행렬식을 계산하실 때 어떻게 계산하시나요? 저는 3x3 이상의 행렬이 나오면 대부분 가우스 소거법을 통해 상삼각행렬(upper triangular matrix)으로 만든 후 주 대각선의 요소들을 곱하는 방식으로 해결했습니다. 하지만 아래와 같은 행렬은 가우스 소거법으로 정리를 하기가 굉장히 까다롭습니다. 이런 행렬의 determinant는 어떻게 구해야 할까요? 바로, 원..

반응형